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13

담보신탁 전세사기 주의! 1. 담보신탁이란?담보 신탁은 주택 소유권을 신탁 회사에 넘기고, 그 대가로 대출을 받는 방식입니다. 일반적인 근저당 설정보다 대출 한도가 높아 부동산 소유주들이 자주 이용합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소유권뿐 아니라 임대차 계약 권한까지 신탁 회사에 넘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원래 집주인은 신탁 회사나 은행의 동의 없이 세입자와 계약을 체결할 수 없습니다. 문제는 일부 집주인이나 중개업자가 이 사실을 숨기고 세입자와 계약을 맺는 경우입니다. 위조된 동의서를 제시하거나, 아예 동의 절차를 생략해 세입자를 속이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결국 세입자는 보증금을 잃고, 대항력도 인정받지 못해 쫓겨나는 상황에 처하게 됩니다. 최근 전세 사기가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특히, ‘담보신탁’을 악용.. 2025. 4. 13.
GTX-B 노선 착공- 송도에서 마석까지 1. GTX-B 노선 개요- 송도에서 마석까지 82.8km GTX-B(수도권광역급행철도-B)는 인천 송도국제도시에서 남양주 마석을 잇는 총 82.8km의 광역 교통망으로, 수도권 교통의 판도를 뒤바꿀 프로젝트입니다. 인천대입구를 출발해 인천시청, 부평, 신도림, 여의도, 서울역, 용산, 청량리 등 14개 주요 역을 연결하며, 핵심 지역 간 이동을 30분대로 단축합니다. 총 6조 8000억 원(민자 4조 3000억 원, 재정 2조 5000억 원)이 투입되며, 인천대입구~용산과 상봉~마석 구간은 민자 방식, 용산~상봉 구간은 재정으로 진행됩니다. 2030년 GTX-B 개통을 목표로, 이 노선은 출퇴근 편의와 지역 발전의 새로운 동력이 될 전망입니다. 실제로는 공사기간이 72개월로 잡혀 있기때문에, 2031년.. 2025. 4. 12.
레버리지 ETF– 수익률을 배로 만드는 ETF 구조 1. 레버리지 ETF의 기본 구조레버리지 ETF는 특정 지수의 움직임을 2배 또는 3배로 확대해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입니다. 예를 들어, 코스피200이 하루 동안 1% 상승했다면, 2배 레버리지 ETF는 약 2% 수익을 목표로 하며, 3배 레버리지 ETF는 약 3% 수익을 추구합니다. 이와 같은 구조는 파생상품(선물, 스왑 등)을 활용해 지수의 수익률을 증폭시키는 방식으로 설계됩니다. 기초 지수와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되 수익률이 확대되는 만큼, 단기 시장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당일 수익률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일간 수익률 배율 추종’이 일반적인 방식이며, 이로 인해 장기 보유 시에는 누적 수익률이 기초 지수와 괴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2025.04.08 -.. 2025. 4. 12.
싱크홀- 도심 속 블랙홀(1/5) 1. 싱크홀은 어떻게 생길까?"갑자기 도로가 꺼졌습니다.” 뉴스에서 한 번쯤 들어본 문장이죠. 자동차가 빠지고, 인도가 무너지며 생명을 위협하는 싱크홀(sinkhole). 겉으로는 멀쩡한 도로가 순식간에 뚫리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싱크홀은 지하의 공간이 무너지면서 생기는 지반 붕괴 현상입니다. 원인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자연적 원인은 석회암처럼 물에 잘 녹는 암석이 지하수에 의해 오랜 시간 깎이면서 빈 공간이 생기는 것입니다. 미국 플로리다주처럼 석회암 지반이 널리 분포한 지역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반면 도시에서는 인위적 원인이 더 큽니다. 지하철 공사, 노후화된 하수관, 지하수 과도 사용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땅 밑이 서서히 비어갑니다. 도로 아래 지지층이 사라진 곳에 갑자기 하중.. 2025. 4. 12.
광명 신안산선 붕괴 사고- 구조 현황과 대피 상황(수정+업데이트) 1. 최신 구조 상황(수정)광명시에서 발생한 광산 사택 붕괴 사고 현장에서 실종됐던 작업자가 사고 발생 약 13시간 여만에 극적으로 구조됐습니다. 구조 당국은 무너진 구조물 틈 사이를 뚫고 진입해 생존 신호를 확인했고, 구조 작업을 통해 작업자를 무사히 구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구조된 작업자는 의식이 있었으며, 곧바로 인근 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현장에서는 추가 붕괴 우려 속에서도 구조대원들이 신속하고 조심스럽게 수색 작업을 이어가며 구조에 총력을 기울였습니다. 2025년 4월 11일 오후 3시 13분, 광명 신안산선 붕괴 사고가 경기 광명시 일직동 5-2공구 공사 현장을 강타했습니다. 신안산선 터널 붕괴로 지하 30m 깊이에 작업자 2명이 고립된 가운데, 소방당국은 필사적인 구조 작업.. 2025. 4. 12.
광명 신안산선 붕괴 사고(영상) 1. 광명 신안산선 붕괴 사고2025년 4월 11일 오후 3시 17분경, 경기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제5-2공구 공사 현장에서 심각한 붕괴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 사고는 수도권 교통망의 핵심 프로젝트인 신안산선 공사 현장에서 일어난 것으로, 지하 터널 붕괴로 인해 작업자 2명이 연락 두절 상태에 빠졌습니다. 사고는 이미 새벽 0시 30분경 터널 내부의 버팀목(기둥)에 균열이 발견되며 예고되었지만, 결국 붕괴로 이어졌습니다.사고 위치: 광명 양지사거리 부근, 신안산선 제5-2공구 주요 피해: 작업자 1명 실종, 1명 고립, 지상 도로 및 상가 일부 손상 현재 상황: 구조 작업 진행 중, 추가 인명 피해 미확인   2025.04.11 - [부동산 일반] - 신안산선 공사 현장 붕괴 우려 신안산선 공사 현.. 2025. 4.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