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일반

2025년 한국 상가 경매 시장 침체

by 함박25 2025. 4. 26.
반응형

2025년 상가 경매 시장은 최악의 침체를 겪고 있습니다. 감정가의 10분의 1로 떨어진 상가 사례부터 낙찰률 하락까지, 지금 상가 경매 시장은 IMF 외환 위기와 서브 프라임 모기지 국제 금융위기를 방불케 할 만큼 얼어붙어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2025년 상가 경매 시장의 현실을 냉정하게 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상가 경매 시장의 충격적인 현실

2025년 4월, 한국 상가 경매 시장은 전례 없는 위기를 맞았습니다. 서울 동대문구의 한 소규모 상가는 감정가 5,400만 원에서 10번의 유찰 끝에 580만 원에 경매가 예정되었습니다. 경기 시흥시 배곧동의 근린상가는 6억 3,700만 원에서 6,250만 원(낙찰가율 9.8%)에 낙찰되었습니다. 이는 상가 경매 시장이 얼마나 깊은 침체에 빠졌는지를 보여줍니다.

상가 경매 시장의 충격적인 현실
상가 경매 시장의 충격적인 현실

2. 침체의 숫자로 보는 상가 경매 시장

부동산 경매 전문 기업 지지옥션의 2025년 3월 데이터에 따르면, 서울에서 진행된 상가 경매 213건 중 39건만 낙찰되어 낙찰률은 18.3%에 그쳤습니다. 이는 7개월 연속 10%대 낙찰률을 기록한 결과입니다. 평균 응찰자 수도 1.9명으로 전월(2.2명)보다 감소했습니다.

  • 낙찰가율 하락: 2022년 119.4%였던 낙찰가율은 2025년 3월 76%로 급락했습니다. 중대형 상가(330㎡ 초과)도 낙찰가율 76.0%로 전년(81.2%) 대비 하락했습니다.
  • 매물 급증: 2024년 7월 전국 상가 경매 건수는 2,294건으로 2013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서울은 286건으로 전년(106건)보다 약 3배 증가했습니다.

침체의 숫자로 보는 상가 경매 시장
침체의 숫자로 보는 상가 경매 시장

3. 상가 경매 시장 침체의 3대 원인

  1. 경기 불황과 소비 위축: 고금리와 장기화된 경기 침체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매출이 급감했습니다. X 게시물에 따르면, 자영업자 550만 명 중 80%가 월수입 100만 원 미만입니다.
  2. 온라인 쇼핑의 확산: 오프라인 상가의 임차 수요가 줄며 공실률이 급등했습니다. 특히 특정 업종(예: 한방, 귀금속) 집합 상가는 ‘애물단지’로 전락했습니다.
  3. 투자 심리 위축: 낮은 임대수익률과 가격 하락을 기다리는 관망세로 경매 참여가 줄었습니다. 지지옥션 전문위원은 “임대가 잘 안 되는 상황에서 경매 수요도 자연히 감소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상가 경매 시장 침체의 3대 원인
상가 경매 시장 침체의 3대 원인

4. 투자자에게 주는 시사점- 신중한 투자 전략이 필요

지금 상가 경매 시장은 위험과 기회가 공존합니다. 가격이 바닥 수준으로 떨어진 상가는 매력적일 수 있지만, 공실률 증가와 임대 수요 감소는 신중한 접근을 요구합니다. 특히, 우량 상권(예: 강남역 주변)과 비우량 상권 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으니 상권 분석이 필수입니다. 2025년 상가 경매 시장은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기 어려워 보입니다. 장기 투자자를 고려하고, 저가 매물이라도 신중한 접근이 필요해 보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