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일반

미얀마 지진 규모 7.7- 태국 방콕서 건설 중 빌딩 붕괴

by 함박25 2025. 3. 28.
반응형

1. 미얀마 중부 강진과 초기 피해 상황

2025년 3월 28일, 미얀마 중부에서 강력한 지진이 발생하며 지역 주민들을 공포에 몰아넣었습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이 지진의 규모는 7.7로, 진앙은 사가잉 시에서 북서쪽으로 약 16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했습니다. 진원의 깊이가 10km에 불과해 지표면에 강한 충격파가 전달되었고, 이로 인해 도로가 갈라지고 주택 및 건물이 무너지는 피해가 잇따랐습니다. 특히 만달레이와 수도 네피도에서도 진동이 뚜렷하게 감지되며 주민들이 거리로 뛰쳐나오는 소동이 벌어졌습니다. 사가잉 단층 근처에서 발생한 이번 지진은 이 지역의 지질학적 취약성을 다시 한번 드러냈습니다. 미얀마는 2021년 군부 쿠데타 이후 정치적 혼란과 통신망 제한으로 인해 피해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현지 주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지진 직후 건물 잔해 속에서 구조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많았고, 최소 3명이 목숨을 잃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그러나 통신 두절과 정보 부족으로 사망자와 부상자 숫자가 이보다 더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지진이 단층 활동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앞으로 여진이 이어질 가능성을 경고하며 주의를 당부하고 있습니다.

미얀마 지진 규모 7.7
미얀마 지진 규모 7.7

2. 미얀마 지진- 방콕 빌딩 붕괴와 태국 내 혼란

태국 방콕에서는 약 900km 떨어진 미얀마 지진의 여파로 예상치 못한 대형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건설 중이던 30층 높이의 고층 빌딩이 갑작스럽게 무너지며 도시 한복판에 큰 충격을 안겼습니다. 태국 국립응급의학연구소(NIEM)에 따르면, 이 붕괴로 최소 1명이 사망하고 5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습니다. 사고 당시 건물 내부에는 약 43명의 건설 근로자가 작업 중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 중 상당수가 잔해 속에 갇혔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붕괴가 일어난 장소는 방콕의 차투착 지역 인근으로, 이곳은 주말이면 관광객과 현지인들로 북적이는 시장으로 유명합니다. 지진 발생 시각에 맞춰 건물이 흔들리기 시작했고, 결국 구조적 안정성을 잃고 무너진 것으로 보입니다. 태국은 일반적으로 지진 활동이 드문 지역으로, 대부분의 건물이 지진에 대비한 설계를 갖추지 않았다는 점이 이번 피해를 키운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현지 언론은 건물 붕괴 순간을 목격한 시민들의 생생한 증언을 전하며, “갑작스러운 진동 후 건물이 순식간에 내려앉았다”는 이야기를 보도했습니다. 구조대는 밤낮없이 잔해를 파헤치며 생존자를 찾고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희망은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미얀마 지진- 방콕 빌딩 붕괴와 태국 내 혼란
미얀마 지진- 방콕 빌딩 붕괴와 태국 내 혼란

3. 미얀마 지진- 양국 정부 대응과 앞으로의 과제

태국 정부는 이번 사고를 심각하게 받아들이며 신속한 대응에 나섰습니다. 방콕은 즉시 긴급 재난 지역으로 선포되었고, 총리 파에통타른 시나왓라는 긴급회의를 소집해 피해 복구와 구조 계획을 논의 중입니다. 정부는 붕괴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전문가 팀을 파견했으며, 건설사의 안전 규정 준수 여부도 함께 점검할 예정입니다. 한편, 미얀마에서는 여전히 피해 상황이 명확히 집계되지 않고 있습니다. 군부 통제로 인해 정보가 제한적인 가운데, 국제 구호 단체들이 현지 지원을 준비하고 있지만 접근이 쉽지 않은 실정입니다. 방콕 사고 현장에서는 구조 작업이 계속되고 있으며, 부상자들을 위해 임시 의료 시설이 설치되었습니다. 태국 시민들은 SNS를 통해 이번 참사에 대한 애도와 함께, 지진에 취약한 건축 환경에 대한 우려를 표출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태국 내 건물 안전 기준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지진 대비 설계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습니다. 미얀마와 태국 양국은 이번 지진으로 서로 다른 방식의 피해를 겪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신속한 복구와 재발 방지를 위한 노력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앞으로의 여진 가능성과 추가 피해에 대한 경계도 늦출 수 없는 시점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