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일반

나라사랑카드- 은행들이 입찰에 사활을 거는 이유

by 함박25 2025. 4. 29.
반응형

1. 나라사랑카드란 무엇인가?

나라사랑카드는 국방부가 병역 의무를 이행하는 청년들에게 제공하는 병역 복지 카드로, 군 복무 중 급여가 입금되는 계좌와 연결된 체크카드입니다. 이 카드는 병사들에게 교통, 쇼핑, 외식 등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하며, 병역 이행자임을 증명하는 신분증 역할도 수행합니다. 2007년 신한은행이 최초로 사업을 시작한 이래, 2015년부터는 KB국민은행과 IBK기업은행이 2기 사업자로 운영해 왔습니다. 2025년 4월 28일, 군인공제회는 3기 사업자 선정을 위한 입찰을 마감했으며,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IBK기업은행 등 4개 은행이 참여했습니다. 최종 사업자는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최대 8년까지 사업을 운영하게 됩니다.

나라사랑카드- 은행들이 입찰에 사활을 거는 이유
나라사랑카드- 은행들이 입찰에 사활을 거는 이유

2. 은행들이 나라사랑카드 입찰에 뛰어드는 이유

은행들이 나라사랑카드 사업을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이유는 단순한 수익성을 넘어 장기적인 전략적 가치에 있습니다. 아래는 주요 이유들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청년층 고객 확보: 평생 고객으로의 가능성

나라사랑카드는 주로 만 18세에서 22세 사이의 청년들에게 발급됩니다. 이들은 취업, 결혼, 주택 구매 등 향후 다양한 금융 수요를 가질 잠재력이 큰 고객층입니다. 군 복무 중 계좌를 사용하며 익숙해진 은행을 전역 후에도 주거래 은행으로 유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은행 입장에서는 초기 비용을 감수하더라도 장기적인 고객 충성도를 확보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예를 들어, 신한은행은 1기 사업 당시 약 312만 장의 카드를 발급하며 막대한 청년 고객 기반을 구축한 바 있습니다.

2. 대규모 저원가성 예금 확보

나라사랑카드 계좌는 매년 약 20만 명의 장병 급여가 입금되는 대규모 자금원입니다. 2025년 병사 월급은 병장 150만 원, 상병 120만 원, 일병 90만 원, 이병 75만 원 수준으로, 연간 수조 원 규모의 자금이 은행에 예치됩니다. 이러한 자금은 이자율이 연 0.1% 내외로 매우 낮은 저원가성 예금으로, 은행의 조달 비용 부담을 크게 줄여줍니다. 저원가성 예금은 금리 변동에 민감하지 않아 금리 인하 시기에도 안정적으로 운용 가능한 자금입니다. 이는 은행의 순이자마진(NIM)을 높여 수익성을 강화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3. 브랜드 가치와 사회공헌 효과

나라사랑카드 사업은 군과 국가를 지원하는 사회공헌적 성격을 띠며, 은행의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는 데 기여합니다. 군 장병을 위한 전용 금융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은행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젊은 세대와의 접점을 늘리려는 은행들에게 매력적인 기회입니다.

4. 치열한 경쟁 속 은행들의 전략

입찰에 참여한 은행들은 차별화된 혜택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하나은행: 연 8% 고금리 적금 상품과 직업 군인을 위한 최대 1억 6천만 원 신용대출 상품을 출시하며 첫 사업자 선정을 노립니다.
  • KB국민은행: 알뜰폰 사업과의 연계로 통신비 할인 혜택을 제공하며 기존 사업자 수성에 나섭니다.
  • IBK기업은행: 직업 군인 전용 예금·대출 상품과 자산 관리 컨설팅 등 비금융 서비스를 강화했습니다.
  • 신한은행: 1기 사업 경험을 살려 신한카드 등 계열사와 협력해 차별화된 혜택을 준비하며 사업권 탈환을 노립니다.

은행들이 나라사랑카드 입찰에 뛰어드는 이유
은행들이 나라사랑카드 입찰에 뛰어드는 이유

3. 저원가성 예금의 중요성과 임베디드 금융 트렌드

나라사랑카드 사업은 은행들이 저원가성 예금을 확보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최근 은행들은 **임베디드 금융(Embedded Finance)**을 통해 비금융 플랫폼과 협업하여 저원가성 예금을 유치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KB국민은행은 스타벅스와 협업한 통장, 하나은행은 당근과의 제휴 통장을 출시하며 고객 접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협업은 고객 충성도가 높은 브랜드를 활용해 안정적인 자금 흐름을 확보하려는 시도입니다. 나라사랑카드 역시 군 복무라는 독특한 환경을 활용해 저원가성 예금을 확보하는 임베디드 금융의 한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

저원가성 예금의 중요성과 임베디드 금융 트렌드
저원가성 예금의 중요성과 임베디드 금융 트렌드

4. 금리 인하 시기와 은행의 전략

현재 금리 인하 기조가 이어지면서 은행들은 예대금리차(대출 이자 - 예금 이자) 축소로 인한 수익성 악화를 우려하고 있습니다. 저원가성 예금은 이러한 환경에서 은행의 수익성을 방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나라사랑카드 사업은 대규모 청년 고객과 안정적인 자금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로, 은행들이 사활을 걸고 경쟁하는 이유입니다. 나라사랑카드 3기 사업자 입찰은 은행들에게 청년층 고객 확보, 저원가성 예금 유치, 브랜드 가치 제고라는 세 가지 가치를 동시에 제공하는 알짜 사업입니다. 2025년 4월 29일부터 이틀간 진행되는 프레젠테이션 심사를 통해 어떤 은행이 최종 사업자로 선정될지 주목됩니다. 은행들의 치열한 경쟁은 단순한 사업권 다툼을 넘어, 디지털 전환과 금리 인하 시대에 살아남기 위한 전략적 선택을 보여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