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일반

압구정역 4번 출구 싱크홀 발생- 원인과 복구 현황

함박25 2025. 4. 17. 02:00
반응형

1. 압구정역 4번 출구 앞 싱크홀

2025년 4월 16일, 서울 강남구 서울지하철 3호선 압구정역 4번 출구 앞 도로에서 지름 60㎝, 깊이 5㎝ 규모의 싱크홀이 발생했습니다. 일반적인 싱크홀(땅속이 보이는 구멍)과 달리, 이번 싱크홀은 도로가 갈라지며 가라앉은 형태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시 동부도로사업소는 오후 4시 42분경 서울재난상황실로부터 상황을 전달받아 즉시 차로를 부분 통제하고 복구 작업에 착수했습니다.

압구정역 4번 출구 앞 싱크홀
압구정역 4번 출구 앞 싱크홀

2. 압구정역 싱크홀 발생 원인

현재 정확한 원인은 조사 중이지만,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 지하철 공사 영향: 압구정역은 지하철 3호선과 인접해 있어 과거 공사로 인한 지반 약화 가능성이 있습니다.
  • 노후 상하수도관: 강남구는 오래된 상하수도관이 많아 누수로 인한 지반 침하가 빈번합니다.
  • 도로 하중: 잦은 차량 통행으로 도로가 지속적인 하중을 받아 지반이 약화되었을 수 있습니다.

강남구는 2015~2024년 10년간 223건의 싱크홀이 발생한 지역으로, 서울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지하 인프라의 노후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압구정역 싱크홀 발생 원인
압구정역 싱크홀 발생 원인

3. 복구 작업 및 안전 대책

서울시 동부도로사업소는 현재 차로를 통제하고 지반 안정화 작업을 진행 중입니다. 복구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응급 통제: 사고 직후 차량 및 보행자 통행을 제한.
  • 지반 조사: 싱크홀 원인 파악을 위한 지반 탐사.
  • 도로 복구: 콘크리트 충전 및 도로 포장 작업.

서울시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지하 인프라 점검을 강화하고, 노후 상하수도관 교체를 서두를 계획입니다. 시민 안전을 위해 도로 점검 주기를 단축하고, 싱크홀 예방 기술 도입도 검토 중입니다. 압구정역 싱크홀 사건은 서울의 지하 인프라 문제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합니다. 시민 모두가 도로 안전에 관심을 가지고, 이상 징후를 빠르게 신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04.11 - [사회 일반] - 싱크홀- 도심 속 블랙홀(1/5)

 

싱크홀- 도심 속 블랙홀(1/5)

1. 싱크홀은 어떻게 생길까?"갑자기 도로가 꺼졌습니다.” 뉴스에서 한 번쯤 들어본 문장이죠. 자동차가 빠지고, 인도가 무너지며 생명을 위협하는 싱크홀(sinkhole). 겉으로는 멀쩡한 도로가 순식

hambak25.com

 

 

반응형